LG화학이 새 배당정책을 발표했다. 3대 신성장동력 추진에 초점을 맞추면서 주주 몫의 배당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화학은 2023년~25년에 해당하는 3개년 배당정책을 최근 공개했다.
새 배당정책에 따르면 LG화학은 향후 3년간 연결재무제표 당기순이익(일회성 비경상 이익 제외) 기준 배당성향 20% 이상을 목표로 할 계획이다.
앞선 2020~22년 배당정책에서는 연결재무제표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30% 이상, 보통주 1주당 최소 1만원 이상의 현금배당 추진을 목표로 했다.
지난 배당정책 대비 배당성향이 10% 줄고, 최소 배당 기준도 없어진 셈이다.
LG화학은 "전지소재, 서스테이너빌리티(Sustainability)소재, 신약 사업 등 3대 신성장동력을 융성하기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며 배당성향 축소 이유를 설명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3대 신성장동력의 추진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신 부회장은 "서스테이너빌리티는 마케팅 전략에 기반해 고부가 시장과 고객을 발굴하고, 개별 프로젝트의 사업 타당성을 우선순위화 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며 "전지소재는 차별화 소재로 시장 선점을 추진하면서 고객은 지속 확대하고, 정교화된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기반으로 메탈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신약은 포트폴리오 관리 역량을 고도화하고 해외 사업의 현지 실행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자원의 최적화 관점에서 자체 항암 R&D 경쟁력을 지속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 배당정책을 적용한 2023년 배당은 2022년과 비교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증권가는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유화학, 배터리 소재, 배터리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모두 실적이 부진한 영향이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화학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은 2조3404억원으로 전망된다.
이 중 20%를 배당으로 지급할 경우 총배당금은 4681억원으로 예상된다. 2022년 총 배당총액 7831억원과 3000억원 가량 차이난다.
LG화학의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한 발행주식수(2022년 말 기준)는 7829만1000주다. 배당이 지급되지 않는 자사주는 우선주 6000주를 보유 중이다.
이를 기준으로 주당배당금은 대략 6000원으로 추정된다. 2022년 주당배당금 1만원과 비교해 40% 하락한 수준이다.
LG화학은 "투자에 따라 성장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 더 큰 성과로 주주 환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