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하이텍이 행동주의펀드인 KCGI 등 주요 기관투자자 등의 권고사항을 반영해 주주환원 확대에 나선다. 다만, 실적 성장세가 꺾여 주주에게 돌아가는 실제 배당은 줄어들 전망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DB하이텍은 최근 주주환원정책과 이사회 운영 정책을 포함한 기업지배구조 개선정책을 발표했다.

​기업지배구조 개선정책 중 주주환원 정책에 따르면 회사는 향후 5년간 주주환원율 30%대로 유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배당성향은 10%대에서 최대 20%까지 확대해​ 구간내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자사주 취득은 발행주식총수의 6.14%에서 15%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이사회 운영정책에 따르면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고,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로 선임할 계획이다. 또, 이사회 산하 내부거래위원회와 보상위원회를 ​설치하고 의장은 사외이사로 선임한다.

​​감사위원회를 연 4회 이상 확대 운영하고, 위원장과 외부감사인의 독립적 회의를 보장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내외 신뢰도 있는 기관의 지표 및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 이사회 평가를 정례화하겠다고 밝혔다.

​KCGI가 주주서한을 통해 DB하이텍에 요구한 △독립적인 이사회 구성 △내부통제 강화 통한 경영투명성 및 경영효율성 제고 △주주권익 증진 등의 내용에 상당부분 부합하는 개선이다.

앞서 KCGI는 지난해 3월 DB하이텍 지분 7.05%를 사들이고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한 바 있다. DG그룹의 지주사 격인 DB아이엔씨는 지난해 12월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로 KCGI가 보유하던 DB하이텍 지분 250만주(지분 5.6%)를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KCGI가 가진 DB하이텍 지분이 7.05%에서 1.42%로 줄면서, 약 9개월간 이어진 행동주의펀드와의 불편한 동거가 사실상 끝난 셈이다.

DB하이텍이 이번에 발표한 주주환원정책 개선 내용에 따르면 전년 대비 배당성향은 2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DB하이텍의 배당성향은 2020년 9.16%, 2021년 6.17%, 2022년 10.11%를 기록해 10% 안팎인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주당배당금은 350원, 450원, 1300원을 기록했다. ​

​다만 전년 대비 2023년 당기순이익이 반토막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배당성향 최대 20%를 적용해도 주주 몫의 주당배당금은 전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DB하이텍은 2023년 연간 매출 1조1567억원, 영업이익 2830억원, 당기순이익 246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1%, 63%, 56%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면서 DB하이텍의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전방수요 부진으로 인한 평균판매단가(ASP)의 지속적인 하락, 생산능력(CAPA) 확대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 등이 실적 감소의 원인이다.​

​배당성향 20%를 적용할 경우 총배당금은 492억6000만원이다. 자사주(272만6653주)를 제외한 상장주식은 4167만1935주로 주당배당금은 1180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자사주 취득은 발행주식총수의 6.14%에서 15%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주식 수 272만6073주~665만9788주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최대 배당성향을 적용할 경우 자사주 매입은 246억3000만원 가량을 매입해야 총주주환원율 30%를 달성할 수 있다.

​DB하이텍 소액주주연대는 2022년 기준 주주환원율 23.7%를 사측에 요구한 바 있다. 최근 4년간 흑자 파운드리 4사 평균 주주환원율이 52.3%이고, 대만 파운드리업체 PSMC는 흑자전환 직후에도 주주환원율 23.7%를 달성했기 때문에 최소한의 주주환원율 수치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