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이 HD현대중공업 주식을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한 가운데 이번 블록딜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HD현대중공업 주식 266만3000주를 3496억5190만원에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고 지난 17일 공시했다. 처분가는 1주당 13만1300원으로, 할인율은 5~7%가 적용됐다.

​통상 블록딜이 발생하면 주가가 하락한다. ​​현 주가보다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면서 시장에서는 그만큼 가치가 하락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최대주주의 지분 매각은 주가가 고점이라는 의미로 해석돼 주가에 악재로 여겨진다. ​

​실제로 HD한국조선해양의 공시 이후인 17일 HD현대중공업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3% 하락한 13만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사진=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는 주식의 유통물량 확대 및 거래 활성화를 목적으로 블록딜을 단행한다고 공시했다. ​

HD현대중공업의 발행주식 총수는 877만주로, 블록딜 이전 HD한국조선해양의 지분율은 78.02%다. 따라서 유동주식의 총수는 현저히 낮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블록딜 이후 HD한국조선해양의 HD현대중공업 지분은 75.02%로 줄었다.

​HD한국조선해양의 이번 블록딜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HD현대중공업의 한 주주는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를 위한 지분이 40% 가량이라고 볼때 나머지 지분은 주가가 상승했을 때 또다시 대주주가 팔아치울까봐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블록딜은 많은 물량이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질 수 있기 때문에 주가 하락을 야기할 수 있다"며 "하지만 기업입장에선 투자 자금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

​추가적인 지분 매각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턴어라운드가 시작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주가가 오버슈팅(과도한 주가 상승)했다는 판단으로 블록딜을 단행한 것은 아닐 것"이라며 "추가적인 지분 매각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주가의 충격을 줄 수 있는 연내 추가 매각은 없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